2023.01.07 (토)

  • 맑음동두천 0.8℃
  • 맑음강릉 4.6℃
  • 연무서울 2.0℃
  • 맑음대전 2.1℃
  • 맑음대구 5.2℃
  • 맑음울산 6.0℃
  • 황사광주 4.9℃
  • 맑음부산 6.6℃
  • 맑음고창 3.5℃
  • 구름조금제주 8.5℃
  • 맑음강화 -0.5℃
  • 맑음보은 1.8℃
  • 맑음금산 3.0℃
  • 맑음강진군 5.4℃
  • 맑음경주시 5.2℃
  • 맑음거제 5.6℃
기상청 제공
메뉴

김포문화재단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장려상 수상

 

시즌데일리 = 김관섭 기자ㅣ김포문화재단은  국가균형발전위원회로부터 지역문제해결과 국가 균형발전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2021 균형발전박람회 <혁신활동가네트워크>에서 장려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2021 균형발전박람회 <혁신활동가네트워크>’는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주최로 2021년 10월 26일 개최됐다. 

 

김포문화재단은 2020년 7월 전국지역문화재단연합회 ‘지역 간 연계사업’ 공모에 선정 후  여주세종문화재단과 협력하여 ‘한강의 옛 나루터 역사기행 –조강에서 여강까지-’ 영상을 제작하였다.

 

‘한강의 옛 나루터 역사기행’은 한강의 끝 줄기인 김포 조강에서 남한강 수운 문화의 중심지였던 여주 여강까지 옛 나루터(포구)의 역사문화를 찾아 과거와 현재를 비교한 영상이다. 본 영상에서는 우선 현재 나루터의 모습을 영상으로 촬영 했고, 이를 과거와 비교․설명하기 위해 문헌기록과 사진, 주민 및 전문가들의 인터뷰가 추가됐다. 

 

또한 옛 나루터를 기반으로 발달한 어업과 교통, 신앙, 생태계, 관광요소 등을 소개 하였는데, 다양한 나루터의 가치와 의미를 다룬 것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김포문화재단 관계자는 “‘한강의 옛 나루터 역사기행’ 영상은 김포와 여주뿐만 아니라 한강 수계 역사문화자원을 보존하고 콘텐츠화 하기 위한 기반작업이다.”라며, “본 영상은 점점 잊혀지고 있는 한강의 여러 나루에 대한 역사적 관심을 환기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며, 한강 수계 지역의 주요 문화콘텐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수원 / 안산 / 지역소식

더보기


연예

더보기

문화

더보기
국립고궁박물관에서 토끼 유물 보고, 행복한 한 해 시작해요
시즌데일리 =심민정 기자ㅣ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2023년 토끼해를 맞아 2일부터 국립고궁박물관 1층 상설전시장 ‘대한제국’ 전시실에서 ‘토끼와 까마귀가 새겨진 은 주전자(銀鍍金日月甁)’를 1월의 ‘큐레이터 추천 왕실 유물’로 정해 공개하고, 문화재청과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를 통해 온라인 영상으로도 선보인다. 은 주전자는 궁중 연향이나 제례 때 술이나 물을 담아 따르는 용도였다. 유물을 자세히 살펴보면 몸체 전체를 은으로 만들었고, 문양과 뚜껑 일부만 금으로 도금했다. 바닥에는 십실(十室)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고, 몸체 앞, 뒤, 중앙에는 각각 세발까마귀와 방아 찧는 토끼가 새겨져 있다. 연꽃봉오리 모양의 뚜껑에는 복이 들어옴을 뜻하는 박쥐를 새겼다. 토끼는 예로부터 다산과 지혜의 상징처럼 여겨지기도 하지만 서왕모와 얽힌 고대 설화에서 먹으면 죽지 않고 오래 살 수 있다는 약인 불사약을 만들기 위해 달 속에서 방아를 찧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달을 상징하는 동물이기도 하다. 이 유물은 고종대 기록물인 진찬의궤, 진연의궤 등에도 동일한 모습이 묘사되어 있어 왕실 연향에 사용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은 주전자> 이외에도 토끼

오피니언

더보기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