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PI : 지난주 2,444pt에서 7pt(-0.3%) 내린 2,437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대세 상승 속에 과열 구간에서 저항을 받는 모습입니다. 일봉상으로는 대체로 상승세가 꺾이며 하방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S&P 500 : 지난주 3,965pt에서 61pt(+1.5%) 오른 4,026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대세 상승 속에 과열 구간에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과열 구간에 완전히 진입하며 상승 에너지를 받고 있습니다. 상해종합 : 지난주 3,097pt에서 4pt(+0.1%) 오른 3,101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대체로 상승세를 그려가는 모습입니다. 일봉상으로는 대세 상승 속에 약하게 혼조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세계 뉴스 코로나19 미국의 확진자는 10,045(+29) 만 명, 사망자는 110.4(+0.2) 만 명을 넘었다. 인도의 확진자는 4,467(+0) 만 명, 사망자는 53.0(+0.0) 만 명을 넘었다 프랑스의 확진자는 3,763(+30) 만 명, 사망자는 15.8(+0.0) 만 명을 넘었다. 한국의 최근 일주일 신규 확진자는 일 평균 54,127명을 기록하며 지난주 대비 2,
시즌데일리 = 정영한 기자ㅣ한국지방행정연구원(KRILA)과 일본정책연구대학원대학(GRIPS)은 한국과 일본의 학술 교류 확대를 위해 매년 정례적으로 지역정책연구회를 개최하고 있다. 이번 제25회 한·일 지역정책연구회는 11월 24일(목) 13:30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다산홀에서 하이브리드 방식(온·오프라인 병행)으로 개최했다. 제25회 연구회는 ‘한·일 지방자치단체의 탄소중립 실천방안’을 주제로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의 탄소중립 실천방안에 대한 한국, 일본의 주요 사례 및 정책을 공유했다. 다카다 히로후미 일본정책연구대학원대학 부학장의 주재로 양국 지방자치단체의 탄소중립 실천 사례가 발표되고, 다양한 실천방안에 대한 담론이 논의됐다. 연구회는 총 2개의 세션으로 구성되며, 한국·일본 발표자가 각각 발표를 진행한 뒤 양국 토론자가 교차 의견 교환방식으로 진행됐이다. 제1세션에서는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박진경 연구위원이 ‘한국의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대구경북연구원 남광현 선임연구위원이 ‘대구형 탄소중립, 시민주도 8G 전략’을 주제로 각각 발표를 진행했다. 이어 발표 내용에 대해 일본 산요학원대학 나카무라 사토시 교수와 무코가와 여자대학 카나자키 켄타로 교수가
시즌데일리 = 정영한 기자ㅣ교육부와 한국장학재단은 2023학년도 1학기 국가장학금을 24일부터 다음 달 29일까지 신청받는다고 22일 밝혔다. 국가장학금은 소득과 재산이 일정 수준 이하이며 성적 기준 등을 충족한 대학생에게 지원되는 소득연계형 장학금이다. 학자금 지원구간은 학생 본인과 부모 또는 배우자의 소득·재산·부채 등으로 산정된 소득인정액에 따라 결정된다. 국가장학금Ⅰ유형과 다자녀 국가장학금은 학자금지원 8구간 이하 학생들에게 등록금 범위 내에서 연간 350만 원부터 전액을 지원한다. 또 국가장학금 Ⅱ유형은 대학별 자체 지원기준에 따라 9구간 학생들까지 지원이 가능하며 신청 대상은 재학생과 신입생, 편입생, 재입학생, 복학생 등 모든 대학생이다. 다만 재학생은 반드시 해당 기간 내에 신청해야 하며, 미신청 학생은 재학 중 2회에 한해서만 구제신청이 가능하다. 국가장학금 신청자는 내년 1월5일 오후 6시까지 가구원 정보 제공 동의 및 필요서류 제출을 완료해야 한다. 다만 가구원이 해외체류·고령 등 사유로 전자서명수단(인증서)으로 동의가 어려울 때는 동의서를 우편 또는 팩스로 제출하거나 신분증을 갖고 재단의 각 지역센터에 방문하면 된다. 신청 결과는 재단
KOSPI : 지난주 2,483pt에서 39pt(-1.5%) 내린 2,444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상승세를 만들고 과열 구간에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과열 구간에서 급격하게 하락 반전을 만들며 하락세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S&P 500 : 지난주 3,992pt에서 27pt(-0.7%) 내린 3,965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상승세를 만들어가며 과열 구간 초입에 들어선 모습입니다. 일봉상으로는 혼조세 속에 대체로 하방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상해종합 : 지난주 3,087pt에서 10pt(+0.3%) 오른 3,097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혼조세 속에 상승세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혼조세를 띄고 있습니다. ※ 세계 뉴스 코로나19 미국의 확진자는 10,016(+27) 만 명, 사망자는 110.2(+0.2) 만 명을 넘었다. 인도의 확진자는 4,467(+1) 만 명, 사망자는 53.0(+0.0) 만 명을 넘었다 프랑스의 확진자는 3,733(+23) 만 명, 사망자는 15.8(+0.1) 만 명을 넘었다. 한국의 최근 일주일 신규 확진자는 일 평균 52,099명을 기록하며 지난주 대비 1,20
KOSPI : 지난주 2,348pt에서 135pt(+5.7%) 오른 2,483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완연한 상승세와 함께, 과열 구간에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과열 구간에서 저항을 받으며 상승해가고 있습니다. S&P 500 : 지난주 3,770pt에서 222pt(+5.9%) 오른 3,992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완만한 상승세를 그리고 있습니다. 일부 혼조세를 띄고도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완연한 상승세로 과열 구간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상해종합 : 지난주 3,070pt에서 17pt(+0.5%) 오른 3,087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지지선의 지지를 받으며 상승세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엇갈리는 신호와 함께 혼조세를 띄고 있습니다. ※ 세계 뉴스 코로나19 미국의 확진자는 9,989(+26) 만 명, 사망자는 110.0(+1.2) 만 명을 넘었다. 인도의 확진자는 4,466(+0) 만 명, 사망자는 53.0(+0.0) 만 명을 넘었다 프랑스의 확진자는 3,710(+16) 만 명, 사망자는 15.7(+0.0) 만 명을 넘었다. 한국의 최근 일주일 신규 확진자는 일 평균 50,870명을
KOSPI : 지난주 2,268pt에서 80pt(+3.5%) 오른 2,348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완연한 상승세를 그리며 움직이고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과열 구간에 진입하며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S&P 500 : 지난주 3,901pt에서 131pt(-3.3%) 내린 3,770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대체로 상승기류를 보이고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과열 구간에서 하락 반전하여 하방 압력을 받고 있습니다. 상해종합 : 지난주 2,915pt에서 155pt(+5.3%) 오른 3,070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신호가 엇갈리며 혼조세를 띄고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완연한 상승세를 그리고 있습니다. ※ 세계 뉴스 코로나19 미국의 확진자는 9,963(+29) 만 명, 사망자는 109.8(+0.3) 만 명을 넘었다. 인도의 확진자는 4,466(+1) 만 명, 사망자는 53.0(+0.1) 만 명을 넘었다 프랑스의 확진자는 3,694(+15) 만 명, 사망자는 15.7(+0.1) 만 명을 넘었다. 한국의 최근 일주일 신규 확진자는 일 평균 42,797명을 기록하며 지난주 대비 8,000명가량 증가했다. 세계경제 : 11월
KOSPI : 지난주 2,213pt에서 55pt(+2.5%) 오른 2,268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상승 반전과 함께 상승세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완연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S&P 500 : 지난주 3,752pt에서 149pt(+3.9%) 오른 3,901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대체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과열 구간에 진입함과 함께,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상해종합 : 지난주 3,038pt에서 123pt(-4.0%) 내린 2,915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혼조세를 보이고 있으나, 매도 우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하락세가 완연합니다. ※ 세계 뉴스 코로나19 미국의 확진자는 9,934(+28) 만 명, 사망자는 109.5(+0.3) 만 명을 넘었다. 인도의 확진자는 4,465(+1) 만 명, 사망자는 52.9(+0.1) 만 명을 넘었다 프랑스의 확진자는 3,679(+23) 만 명, 사망자는 15.6(+0.0) 만 명을 넘었다. 한국의 최근 일주일 신규 확진자는 일 평균 34,521명을 기록하며 지난주 대비 9,000명가량 증가했다. 세계경제 : 중국의 3분기 경제성
KOSPI : 지난주 2,212pt에서 1pt(+0.0%) 오른 2,213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2,200선이 지지선으로 작용하면서 상승세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상승세가 보이지만, 대체로 혼조세를 띄고 있다. S&P 500 : 지난주 3,583pt에서 169pt(+4.7%) 오른 3,752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3,500선을 찍고 반등하는 모양세로, 상승 반전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상승세를 띄고 있습니다. 상해종합 : 지난주 3,071pt에서 33pt(-1.0%) 내린 3,038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3,000선에서 지지를 보이며, 혼조세를 띄고 있다. 일봉상으로도 혼조세를 띄고 있습니다. ※ 세계 뉴스 코로나19 최근 코로나 확진자가 소폭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의 확진자는 9,906(+24) 만 명, 사망자는 109.2(+0.2) 만 명을 넘었다. 인도의 확진자는 4,464(+2) 만 명, 사망자는 52.8(+0.0) 만 명을 넘었다 프랑스의 확진자는 3,656(+35) 만 명, 사망자는 15.6(+0.1) 만 명을 넘었다. 한국의 최근 일주일 신규 확진자는 일 평균 25,3
KOSPI : 지난주 2,232pt에서 20pt(-0.9%) 내린 2,212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하락세가 강한 혼조세를 띄고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상승세가 작용하고 있습니다. S&P 500 : 지난주 3,639pt에서 56pt(-1.5%) 내린 3,583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과매도 구간에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혼조세를 띄고 있습니다. 상해종합 : 지난주 3,024pt에서 47pt(+1.5%) 오른 3,071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하락세가 강하나, 상승의 기미가 보이고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상승 반전을 이루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세계 뉴스 코로나19 미국의 확진자는 9,882(+28) 만 명, 사망자는 109.0(+0.3) 만 명을 넘었다. 인도의 확진자는 4,462(+1) 만 명, 사망자는 52.8(+0.0) 만 명을 넘었다 프랑스의 확진자는 3,621(+39) 만 명, 사망자는 15.5(+0.0) 만 명을 넘었다. 한국의 최근 일주일 신규 확진자는 일 평균 21,406명을 기록하며 지난주 대비 200명가량 감소했다. 세계경제 : 미국의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8.2
KOSPI : 지난주 2,155pt에서 77pt(+3.6%) 오른 2,232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약하게나마 상승 반전의 신호가 보이고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상승세를 그리며 과열 구간에 진입을 앞두고 있습니다. S&P 500 : 지난주 3,585pt에서 54pt(+1.5%) 오른 3,639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하락세가 짙고, 과매도 구간에서 움직임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상승세를 그리는듯했으나, 다시 하락 반전하며 혼조세를 띄고 있습니다. 상해종합 : 지난주 3,024pt로 마무리한 이후 국경절 연휴로 휴장 ※ 세계 뉴스 코로나19 미국의 확진자는 9,854(+30) 만 명, 사망자는 108.7(+0.3) 만 명을 넘었다. 인도의 확진자는 4,461(+2) 만 명, 사망자는 52.8(+0.0) 만 명을 넘었다 프랑스의 확진자는 3,582(+39) 만 명, 사망자는 15.5(+0.0) 만 명을 넘었다. 한국의 최근 일주일 신규 확진자는 일 평균 21,620명을 기록하며 지난주 대비 7,000명가량 감소했다. 세계경제 : 이번 주(13일) 미국의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된다. 지난달 한국의 소비자물가는
시즌데일리 정영한 기자 | 여성가족부(장관 김현숙)는 29일(목) 정부서울청사에서 제6기 다문화가족 참여회의 위원을 위촉하고, 첫 소통의 자리를 마련했다. 다문화가족 참여회의는 다문화가족의 정책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해 2015년 발족되었으며, 제6기 참여위원들은 향후 2년 동안 다문화가족 정책 및 사업에 관한 의견과 정책 아이디어를 제안할 예정입니다. 제6기 참여위원은 대국민 공모 및 17개 시·도의 추천을 거쳐 선정하였으며, 결혼이민자, 자녀, 배우자 등 다양한 다문화가족 구성원이 참여합니다. 정부초청장학생으로 입국하여 한국인 남편과 가정을 꾸린 아마도바 라힐씨는 한국생활 14년차로서 외국인주민 명예통장, 대한민국 알리미 등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다문화가족 자녀인 김미래씨는 여성가족부가 지원하는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서비스의 도움을 받아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였고, 현재 교육 전문가를 꿈꾸고 있습니다. 중국 출신 배우자와 결혼하여 대학생 자녀를 둔 박선옥씨는 중도입국 청소년에 대한 정책적 뒷받침과 편견 개선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참여회의에 지원했습니다. 여성가족부는 참여회의를 통해 다문화가족 구성원들이 그간 경험했던 어려움과 정책 제언을 듣고, 보다